◾Intro

🔻references

◾Main

🔻LangGraph의 등장배경

🔸Conventional RA점

  1. 기존의 Hallucination 문제는 지속적
  2. RAG를 적용한 답변이 실제 질문과 관계없이 RAG에 있는 ‘사전지식’만으로 답변한 것은 아닐까
  3. RAG 문서에 없는 내용을 인터넷 혹은 논문 탐색을 통해 지식 보강할 순 없을까

🔸LangGraph의 제안

⇒ “Conditional Egde”를 통해 상황별 분기 처리 → RAG pipeline에 유연성을 더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