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정 (syllable) : 가장 작은 “말소리”의 단위
형태소 (morpheme) : 언어에서 “의미”를 갖는 가장 작은 단위
[한국어 형태소 예시]
어절 : 띄어쓰기 단위
품사 : 단어를 문법상 의미, 형태, 기능에 따라 분류한 종별
언어에서 의미를 갖는 가장 기본 단위인 형태소를 분석하는 방법. 형태소 간의 상관관계를 규명하는 학문.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st004329&logNo=220860435393]
이형태 (allomorph) : 한 형태소에 대한 여러 개의 변이 형태
e.g. 영어에서 복수형 굴절형태소 이형태 : car-s, bus-es, sheep-$\empty$ (영형태, zero morph), man → men (불규칙)
e.g. 영어에서 과거시제 이형태 : walk-ed, help-ed, go → went (불규칙)
문법 규칙
심층 구조 VS 표층 구조
⇒ 서로 다른 표층 구조를 갖는 문장이라도 그 심층 의미는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구조적 모호성(Structural Ambiguity)
구조적 모호성이 있는 표층구조 : 동일한 표층구조를 갖고 있더라도 다르게 해석할 수 있는 구조.
e.g. “Annie bumped into a man with an umbrella” → 우산을 들고있는 남자를 때린 것인지 우산으로 남자를 때린 것인지 모호한 구조.
반복 (Recursion)
문법규칙은 반복(recursion)이라는 중요한 속성을 가짐. 몇 번이고 반복되는 반복규칙은 구조를 생성하는 데 여러 번 적용되는 특성을 가짐
The gun was on the table. => 반복해서 전치사구 생성하는 규칙 적용 • The gun was on the table near the window in the bedroom
문장 속으로 다른 문장을 넣을 수 있다.
• Mary helped George • Cathy knew that Mary helped George → John believed that Cathy knew that Mary helped George
구 구조규칙 (Phrase Structure Rules)